성당관련정보/영적음식

실패하는 사람들

배델창 2019. 12. 11. 11:40

  

 

 

 

    
    - 실패하는 사람들  -
    
    인생길에서 실패는 누구나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예 실패자로 낙인찍힌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조언을 들으려 하지 않습니다.
       소귀에 경읽기 식으로 고집불통입니다.
    2. 희망이 보이지 않습니다.
       얼 나이팅게일은 삶의 위기를 만날 때마다
       나는 죽느냐, 사느냐의 기로에서 마침내 살기로 결정했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아직 희망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지요.
    3. 그런데 실패자들은 이런 희망을 가지려고 노력조차 하지 않습니다.
       무엇엔가 목숨걸 일이 없습니다.
       죽느냐, 사느냐의 갈림길에서 끊임없이 선택하고 결단하면서 
       성숙해가는 것인데 이런 것이 없습니다.
    4. 먹고 마시고 입는 것 외에는 아무 관심이 없습니다.
       굶지만 않는다면 움직일 생각조차 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아무 것도 하지 않습니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책임감입니다.
    책임감(response-ability)이란 어떤 상황이나 여건 하에서도
    자신의 반응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그러한 책임감을 느낄 수 있을 때에만
    자신에 대한 다짐은 기분이나 주변의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됩니다.
    또 그래야만 스스로에게 한 약속을 지키고 결심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더 많은 공동의 승리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도전을 잘 처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우리는 결국 내면의 신선한 능력을 활용하여 
    새로운 높은 경지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과거에의 속박, 즉 개인적 습관이나 사회적 관습, 문화적 전통 등과 같은 
    강력한 저지 세력을 극복하고
    진정으로 자신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이 치러야 할 비용을 계산해 보고 
    자신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을 총동원해야 합니다.
    우주선이 지구의 중력을 벗어나기 위해 엄청난 추진력을 사용하는 것처럼
    낡은 습관을 타파하는 데에도 그와 같은 추진력이 필요한데
    이 추진력이 바로 책임감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책임감은 어떻게 생기는가?
    함께 일하면서 생깁니다.
    우리 몸에 배어 있는 나쁜 습관들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희망이나 의지력만으로는 어렵습니다.
    성과를 확인하고 또 우리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사람들과 
    대인 관계를 강화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진척 상황을 알리고 
    실행 성과에 대한 피드백을 들을 기회를 갖지 못하면
    우리의 결심은 쉽게 깨지고 맙니다.
    성과에 대한 확인이 있어야 책임감이 고양되고
    본인의 다짐과 참여가 있어야 변화가 가능합니다.
    자신이 배운 것을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고
    정기적인 생활에 적용해 보고
    자신의 진행 성과를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